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세라뮤 Un Nouveau Voyage - The awakening [] 세일러문 과학적 고찰

 세일러문에 대한 집착적인 고찰; 세일러문 뮤지컬 1990년대 많은 사랑을 받았던 애니메이션 세일러문에 대해 과학적으로 분석해보는 글입니다. 첫번째로 분석해볼 부분은 세일러문 뮤지컬 넘버인 The awakening 이라는 곡입니다. 세일러문 뮤지컬에 대해 생소할것 같은데요, 예전에 세일러문 만화를 TV를 통해 시청했던 사람들은 서구적인 캐릭터 등장에 많이들 미국 애니메이션으로 알고 있더라구요. 저 역시도 그랬습니다. 하지만 세일러문은 일본 애니메이션이고 원작이라고 하긴 참 애매하지만 만화책으로 먼저 출판되었습니다. 만화책의 연재보다 조금 늦게 애니메이션이 방영되었기 때문에 전체적인 맥락은 비슷하지만 설정이나 등장인물, 내용전개 등 다른 부분도 있습니다. 그리고 세일러문이 일본에서 방영했던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세일러문 뮤지컬도 무대에 오르게 됩니다. 우리나라에는 이런 2D 작품(특히 애니메이션)이 공연화 되는게 흔하지는 않은데요 일본은 많은 작품들이 뮤지컬화 되는것 같습니다. 물론 뮤지컬도 원작(만화 혹은 애니메이션)과 맥을 함께 하지만 실제로 공연화 되는 부분으로 인해 무대화 되어 설정이 바뀌는 경우도 있고 독자적인 스토리가 무대에 오른 경우도 있었습니다. 2000년대 초, 마지막 공연으로 세일러문의 뮤지컬화는 그렇게 끝나는가 했는데 세일러문 20주년을 맞이해 2012년에 다시 애니메이션화 되었고 뮤지컬도 2013년부터 시작하여 매년 공연화 되어 2017년까지 다섯 시리즈가 모두 올랐었습니다. 지금은 일본 아이돌을 배역으로 하는 새로운 텀이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잡소리가 길었습니다. 이번 곡은 2015년에 올랐던 Un nouveau voyage (새로운 여행) 공연에 올랐던 곡입니다. 특이하게 이 시즌의 공연 제목들은 다 불어로 지어졌습니다. 노래의 화자 데스 버스터즈라는 침략자의 행동대장 격인 카오리나이트라는 캐릭터가 중심이 되어 이끌어 가는 곡입니다. 사실 이 곡은 데스 버스터즈에 구성원들이 모두 참여하는 곡이기 때문에 데스...

번역어플 전격 비교! 영어공부를 위한 지니톡 vs 구글번역 vs 파파고 비교

일단 세개의 번역기를 모두 설치해 놓았는데 주로 사용하게 되는건 파파고이다. (왜인지는 모르겠는데 손이 간다.) 그리고 파파고로 번역했을때 뭔가 미심쩍다 싶으면 다른 번역기도 돌려보는 편이다. 회화가 아닌 일반 설명문은 구글번역기를 더 많이 사용한다. 특히 텍스트를 복사할 때 사진으로 찍어서 글자를 인식시킨 다음 '모두선택'을 누르면 자동으로 글자가 모두 선택되어 번역되기 때문이다. 파파고도 지금은 바뀌었는지 모르겠지만 손가락으로 원하는 문장을 일일이 문질러야 하는것이 좀 번거로워서 이미지 텍스트 번역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

파파고는 네이버에서, 구글번역은 구글에서. 나름 번역을 잘 해줄것 같은 느낌. 지니톡은 작년 평창올림픽때 공식으로 사용한다고 밀어줬던 어플로 기억한다. 다양한 외국어가 지원되며 음성인식, 텍스트 인식, 사진 인식이 가능하다.
✈️✈️✈️✈️✈️✈️✈️✈️✈️✈️✈️✈️✈️✈️✈️✈️✈️✈️✈️✈️✈️✈️✈️✈️✈️✈️✈️✈️✈️✈️

사진에서 텍스트를 인식하는 방법은 촬영 후 인식 된 단어 박스를 하나씩 체크해서 번역하기를 누르면 문장으로 인식하여 번역해준다. 약간 번거로움.

구글 번역은 거의 전 세계언어가 번역이 가능한 듯. 음성인식, 대화인식, 사진 인식이 되며 필기를 인식하는 기능이 특징적. 밑에 번역 기록이 남아있다.

사진으로 글자를 촬영하면 인식된 단어들이 인식되고 모두 선택하기를 누르면 화면상의 모든 단어가 한번에 문장으로 인식되어 번역해준다. 이 편리함 때문에 텍스트 번역에 가장 많이 사용한다.
 
파파고는 기능 중 사이트 번역 및 간단한 회화구문을 포함하고 있다. 음성인식, 텍스트 인식, 사진 인식이 가능하다.
사진으로 촬영한 단어를 손가락으로 스크래치 긁듯이 긁어주면 선택적으로 인식하는 방법. 생각보다 인식이 정확하게 되지 않고 문장이 길 경우 불편하다.
✈️✈️✈️✈️✈️✈️✈️✈️✈️✈️✈️✈️✈️✈️✈️✈️✈️✈️✈️✈️✈️✈️✈️✈️✈️✈️✈️✈️✈️✈️


이제 회화체 문장을 한번씩 번역해보자. 직역했을때의 문장과 실제 의미의 문장이 다른 몇개의 예시를 텝스 기출문제로 준비해봤다.

I don't mind introducing him

지니톡과 파파고가 거의 유사하고 구글은 약간 다르다.

I've confirmed everything with organizing the commitee

미묘하게 의미가 다르다. 지니톡과 파파고는 위원회를 조직해서 모든것을 확인했다는 의미인듯 한데 구글은 위원회 구성과 관련해 모든걸 확인했다고 번역된다.
✈️✈️✈️✈️✈️✈️✈️✈️✈️✈️✈️✈️✈️✈️✈️✈️✈️✈️✈️✈️✈️✈️✈️✈️✈️✈️✈️✈️✈️✈️

He needs night a on the town.

대화의 상황은 '그'가 우울해 하니 데리고 나가서 같이 술먹자는 내용에 이어지던 문장이다.
지니톡과 파파고가 비슷하게 해석하였고 구글은 직역한 느낌이 강하다.

Perfect. I'm glad he's back to his old self.

그가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와서 기쁘단 내용인데 지니톡은 문장이 이상하고 구글은 역시 직역 느낌이 강하다.
✈️✈️✈️✈️✈️✈️✈️✈️✈️✈️✈️✈️✈️✈️✈️✈️✈️✈️✈️✈️✈️✈️✈️✈️✈️✈️✈️✈️✈️✈️

What are the chance of meeting like this?

뜻밖의 장소에서 두 남녀가 우연히 만난 상황이다. 지니톡이 가장 회화체에 가깝고 구글은 CHANCE를 기회라고 직역하였다. (나처럼) 찬스가 기회말고 가능성으로도 해석되는지 오늘 처음 알았다.

Ok, just stick with that one them.

옷가게에서 옷을 착용해본 남자가 옷이 컸는데 세탁하면 줄어들지도 모른다는 조언을 듣고 더 작은 사이즈로 선택하지 않고 착용한 사이즈의 옷을 선택한다는 뉘앙스의 답이었다.
✈️✈️✈️✈️✈️✈️✈️✈️✈️✈️✈️✈️✈️✈️✈️✈️✈️✈️✈️✈️✈️✈️✈️✈️✈️✈️✈️✈️✈️✈️

구글도 매끄럽진 않지만 내용상 지니톡은 전혀 다른 해석이 나왔다.

Just take your business elsewhere.

ATM기계에서 돈을 인출했는데 수수료가 비싸서 항의할까?라는 질문에 해당하는 정답지다. 셋 다 대화의 상황과는 전혀 맞지 않는 해석이 나왔다.

이번에는 대화체가 아닌 긴 설명문을 번역해봤다. 설명문은 문장의 길이가 길면서 쉼표 뒤에 문장이 이어지거나 절이 들어가게 되면 해석이 매끄럽게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한국어를 읽는데 이해가 안되는 그런 상황. 각 문장을 비교해보자.


✈️✈️✈️✈️✈️✈️✈️✈️✈️✈️✈️✈️✈️✈️✈️✈️✈️✈️✈️✈️✈️✈️✈️✈️✈️✈️✈️✈️✈️✈️

'지'는 지니톡, '구'는 구글, '파'는 파파고이다.

지: 평가위원회는 Haliford School의 업데이트 된 테스트 방법을 검토한 결과 문제가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구: 평가위원회는 Haliford School의 업데이트 된 테스트 방법을 검토한 결과 문제가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파: 평가 위원회는 Haliford School의 최신 시험 방법을 검토한 결과 문제점이 남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지: 불규칙 채점에 대한 불만 사항 다음. Haliford School은 학점 간 일관성을 향상시키고 점수를 안정화하기 위해 학년 교육을 실시하기로 합의했습니다. 

구: 불규칙 채점에 대한 불만 사항 다음.Haliford School은 학년 간 일관성을 개선하고 점수를 안정화하기 위해 학년 교육을 실시하기로 합의했습니다. 

파: 득점 부정에 대한 불만 뒤따라 핼리포드 학교는 학년 간 일관성을 향상시키고 점수를 안정시키기 위해 학년 훈련을 실시하기로 합의했다. 
✈️✈️✈️✈️✈️✈️✈️✈️✈️✈️✈️✈️✈️✈️✈️✈️✈️✈️✈️✈️✈️✈️✈️✈️✈️✈️✈️✈️✈️✈️

지: (문장이 짧아서 짤림) 위원회는 필요한 훈련이 이루어 졌다고 기록합니다. 

구: 위원회는 필요한 훈련이 이루어 졌다고 기록합니다. 

파: 위원회는 필요한 훈련이 이루어 졌다고 지적한다.


지: 그러나 그 학년 학생들은 주관적 성적 평가 기준을 서로 맞출 수 없었습니다. 

구: 그러나 그 학년 학생들은 주관적인 성젹 평가 기준을 서로 맞출 수 없었습니다. 

파: 그러나 그 학년들은 주관적인 성적기준을 서로 일치시킬 수 없었다.

이렇게 비교해보니 모든 종류의 문장이 완벽하게 해석되는 번역기는 없는듯 하다. 해석되지 않는 문장은 두 가지 정도의 번역기로 돌려봐야 매끄럽게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어떤 번역기가 더 낫다라고 절대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다기 보다 각 번역기의 장단점을 잘 비교해서 사용하는게 좋을듯!

댓글

가장 많이 본 글